티스토리 뷰
명절이 되면 전통시장 매출 상승을 위해 온누리 상품권 특별 할인을 진행하고 있습니다. 올 2020년 추석을 맞이하여 온누리 상품권 특별 할인 및 개일 할인 구매한도까지 상향되었습니다.
온누리 상품권을 재래시장을 이용할 때 사용하고, 받는 가게들도 생각했던 거보다 많이 있습니다. 온누리 상품권 사용처만 잘 알고 계신다면 설, 추석 명절 때 저렴하게 구매 후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. 2020년 추석 명절을 맞이 하여 온누리 상품권 할인과 판매처 등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.
※ 온누리 상품권이란?
원래 온누리 상품권은 전통시장을 살리기 위한 특수목적의 상품권으로 정부가 2009년 7월에 도입한 제도입니다.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기금에서 비용을 부담해 액면가보다 5~10% 할인된 금액에 판매되며, 1인당 한 달에 50만 원까지 구매할 수 있습니다.
지류상품권종 | ||
5천원권 | 1만원권 | 3만원권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
|
||
●잔액현금교환 권면금액(총 구매금액)의 60% 이상 구매할 경우 잔액을 현금으로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. 무기명식미래에 상품권에 기재된 액면 상당의 상품을 지급할 것을 약속하는 교환증서 성격의 유가증권으로서, 상품으로 교환하는 시점에 현금영수증 발급대상이 됩니다. |
전자상품권종 | |
●무기명식 | |
![]() |
|
![]() |
|
●기명충전식 | |
![]() |
|
●소득공제 및 인터넷사용 다음의 경우 상품권 사용 전 고객이 직접 BC카드 홈페이지에서 소득공제 및 인터넷사용 등록 후 사용해야 합니다. ① 현금/카드 소득공제가 필요한 경우 ② 온라인 전통시장관 쇼핑몰에서 상품권을 사용하려는 경우 BC카드로 카드 소득공제 등록하러 가기 |
모바일상품권종 | |
![]() |
|
![]() |
|
![]() |
|
![]() |
|
![]() |
※ 온누리 상품권 특별판매 기간 및 구매한도
모바일 상품권의 경우 추석전후(9.21~10.31) 모바일 상품권 50만 원 이상 사용(결제 완료 건) 시 '21년 1~2월 할인 구매한도 월 30만 원 추가 부여합니다.
참고하실 내용이 있는데요. 전통시장 및 상점가 상인(개별가맹점주)는 할인 구매가 불가하며, 개인 할인 구매 시 대리구매가 불가합니다.
※ 온누리 상품권 구매처 및 사용안내
①종이상품권(지류 상품권 총 16곳)
신한은행, 우리은행, KB국민은행, 대구은행, 부산은행, 광주은행, 전북은행, 경남은행, 수협, 신협, NH농협, 우체국, MG 새마을금고, 기업은행, SH수협은행, 하나은행
②전자 상품권(7곳)
우리은행, 대구은행, 부산은행, 경남은행, 기업은행, NH농협은행, 비씨카드
③모바일 상품권
(농협) 올원 뱅크, (경남) 투유 뱅크, (광주) 스마트뱅킹, (대구) M뱅킹, (부산) 썸 뱅크, (전북) 뉴스마트 뱅킹, 머니트리, 비플제로페이, 체크 페이, 페이코, 핀트, 핀크, 슬배생
* 농협중앙회(농협은행) 온누리상품권 취급, 지역 농축협(지역○○농협) 온누리상품권 미취급
※온누리 상품권 사용처
-
전국 전통시장 및 상점가, 상권 활성화구역 내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점은 ‘전통시장 통통(www.sijangtong.or.kr)’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, 가맹점 종류별 부착된 스티커 확인 온누리 상품권 가맹점포 찾기로 바로가기
지류가맹점 스티커 | 전자가맹점 스티커 | 모바일가맹점 스티커 |
![]() |
![]() |
![]() |
-
전자상품권의 경우 온라인 전통시장관 쇼핑몰에서도 사용 가능 사전에 BC카드 홈페이지에서 소득공제 및 인터넷/ISP 등록 필요